각 지자체들이 지방세수와 일자리 창출 등의 이유를 들어 추진하는 골프장 조성이 기대치 만큼 지역경제에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강원도와 원주지방환경청에 따르면 주5일제가 본격화되면서 국내 레저산업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도내에는 현재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은 37개의 골프장이 운영중인 것을 비롯해 건설 중이거나 추진 중인 45곳 등을 모두 합치면 82개로 이는 여의도 면적의 10배에 달한다.
그러나 최근 국회예산처가 발표한 골프장 건설로 인한 지자체 재정확보 및 지역 경제발전 효과를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18홀짜리 골프장 1곳이 내는 세금은 평균 31억원으로 이 가운데 국세가 25억원으로 대부분이며 지방세는 6억5000만원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골프장이 아니더라도 내야 하는 종합 토지세가 2~3억으로 지자체의 세수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로 인한 일자리 창출은 18홀의 평균 고용인수는 165명(정규직 65명, 캐디 80명, 일용직 20명)인 가운데 실제로 지역주민들의 일자리 창출은 청소나 잡초 제거 등 비정규직 20~30명에 불과해 지역주민들을 위한 고용 효과는 거의 없는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골프장 1개당 연간 내장객수는 2002년(9만6225명)이후 해마다 감소해 지난해에는 8만6560명으로 줄었으며 이런 추세라면 현재 건설 중이거나 계획 중인 골프장이 모두 문을 열게 되면 도산하는 골프장이 속출할 수 있다는 경제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이로 인해 골프장 한 곳을 새로 개발하는 데는 대개 540억원 정도가 들어가지만 만일 골프장이 문을 닫게 되면 원상복구를 위해서는 이보다 몇 배의 예산이 들어가 자칫 무리한 골프장 조성으로 울창한 산림훼손은 물론 국토 황폐화만 불러 올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한 지자체 간부는 "정부의 종부세 및 세수감면 정책으로 세수와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떨어져 무리하게 골프장 조성을 추진할 필요가 없다"며 "그러나 업체들이 부지조성 등을 위해 막대한 예산을 투자한 상태에서 쉽게 물러 설 수 있겠느냐"며 골프장 인.허가를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환경단체 관계자는 "온 국토가 골프장 건설로 자연생태계의 근본 파괴를 가져와 지역 생태계에 엄청난 영향을 미치게 돼 울창한 산림이 녹색사막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다"며 "골프장 조성으로 지역경제에 아무런 효과도 가져 오지 못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만큼, 현재 추진중인 골프장 조성은 즉각 철회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춘천=뉴시스】한윤식기자 ysh@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