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꿈꾸는 ‘춘천 시민의 집’ 구상입니다. 어느 누구와도 의견수렴 없이 머리 속에 있는 그림을 그려 보았습니다. 혹시 단체 이름이 들어가서 오해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생생하게 제 마음을 그린 것이니 너그럽게 이해해 주십시오. 앞으로 지역에서 이런 논의를 하고자 합니다. 여러분의 솔직한 다양한 의견을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1. 지역시민사회의 현실
1) 대안 없는 시민운동 - 지역사회의 미래에 대한 진보적 비전과 가치 공유 미흡
2) 단체에 갇힌 시민운동 - 지역시민단체간 연대활동과 네트워크 취약
3) 자립적 경제공동체의 기반이 취약한 시민운동 - 시민사회 주도형 내발적 지역경제와 사회적 경제 기반 취약
4) 시민 없는 시민운동 - 지역의 삶터 속에서 시민과 소통하는 진보적 생활정치의 기반 취약
2. 시민의 집의 필요성과 Mission
 |
▲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삭막한 회색도시에 푸른 공동체가 있다면? 경쟁과 다툼을 대신할 사람과 사람 사이의 아름다운 연대가 가능하다면? 돈 없이도 불편함이 없고 몸과 마음이 풍요로운 생활을 할 수 있다면? 누구나 한번쯤 상상해봤을 이런 일들이 실제로 우리 동네에 일어난다면? / 출처 : 마포 민중의집 | 1) 토론과 교육의 장 - 토론, 연구, 교육을 통한 진보적 지역 비전 만들기와 가치 공유
2) 연대와 네트워크의 거점 - 공동의 공간 및 프로그램을 매개로 한 단체 간 연대와 네트워크 활성화
3) 사회적 경제의 허브 - 사회적 기업의 지원과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사회적 경제 기반 마련
4) 진보적 생활정치의 거점 - 지역의 삶터 속에서 주민과 소통하는 진보적 생활정치의 기반 마련
5) 일상적 생활문화의 장 - 문화, 운동, 취미 소모임의 배움과 소통의 장
3. 시민의 집 회원단체
1) 시민사회단체 - 춘천시민연대 - 춘천노동복지센터 등
2) 사회적 경제 단체 - 춘천생활협동조합 - 춘천친환경농산물유통사업단 - 춘천녹색희망센터(지역화폐)* - 춘천대안보육센터(어린이집)* - 춘천대안교육센터* - 이주여성카페(다문화 식당) - 춘천가사간병지원센터(보드미나누미) - 춘천아토피STOP센터* - 춘천의료생활협동조합* - 춘천 사회적경제 네트워크 - 춘천녹색희망(언론사)
3) 일상적 생활문화 단체 - 호수를 닮은 사람들(노래 모임) - 두바퀴로 가는 세상(자전거 모임) - 피플스(야구단)
4) 기타 단체 - 영서북부일반노동조합 - 진보신당 - 춘천녹색희망연구소*
* 표시가 있는 곳은 아직 결성 안 된 희망사항임.
작성일 : 2008-11-14 20: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