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민들의 이념 성향은 중도에 가깝고 취업난과 빈부격차 심화를 우리 사회의 최대 문제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둔 정치권은 중도층 견인을 위한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는 강원일보가 창간 66주년을 맞아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TNS리서치인터내셔널에 의뢰해 지난 20, 21일 이틀간 도내 거주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도민 의식 여론조사 결과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이념 성향이 어디에 가깝냐고 묻는 질문에 중도가 31.6%로 가장 많았으며 보수 31.3%, 진보 22.2% 순이었다. `매우 보수'를 0, `중도'를 5, `진보'를 10으로 놓고 점수로 질문했을때도 평균 점수는 4.82로 역시 중도에 가까웠다. 이는 지난해 6·27 지방선거와 지난 4·27 도지사 보궐선거에서 나타난 결과처럼 강원도가 이제 `보수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도민들의 의식을 보여준 것으로 풀이된다.
또 도민들은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로 취업난(34.4%)을 꼽았다. 이어 빈부 격차 심화(33.7%), 고령화(19.1%), 세대 계층 간 갈등(7.8%)이 그 뒤를 이었다. 도내 최대 현안을 묻는 질문에서도 역시 `일자리 창출'이 31%로 가장 높았다. 이 같은 조사 결과는 가파르게 치솟고 있는 물가 상승, 청년실업난 등 체감경제의 극심한 악화를 어떻게 극복해 나가느냐가 정부와 정치권의 최대 과제임이 다시한 번 입증됐다. 나아가 도민들은 보수와 진보를 떠나 `먹고사는 문제'즉, 중도실용 노선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음을 보여줬다.
강원인으로 얼마나 자부심을 느끼고 있느냐는 질문에 자랑스럽다는 응답이 69.2%에 달했다. 이는 2018평창동계올림픽 유치 등을 통해 높아진 강원도의 위상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내년 4월 국회의원 선거와 관련해 지역 내 현역 의원을 지지할 것이다는 27.9%에 그친 반면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는 38.3%에 달했다.
내년 12월 대통령 선거에서 누가 차기 대통령으로 가장 낫겠느냐는 질문에서는 박근혜 한나라당 전 대표 42.4%, 안철수 서울대 교수 14.4%, 문재인 노무현재단이사장 4.2%, 손학규 민주당 대표와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 각 2.3%로 나왔다. 모름/무응답층도 27%에 달했다.
정당 지지도는 한나라당이 36.5%로 가장 높았으며 민주당이 24.2%였다. 지지 정당 없음이 35.1%에 달해 정치에 대한 불신감이 여전한 것으로 드러났다.
오는 27일 취임 6개월을 맞는 최문순 지사의 도정 수행에 대해서 잘한다가 53.9%로 잘못한다(19.1%)를 2배이상 웃돌며 무난한 평가를 받았다. 강원교육 현안인 무상급식에 대해서는 48.9%가 단계적으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고교평준화 찬반에서는 찬성 53.3%, 반대 36%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여론조사는 설문지에 의한 RDD(임의 번호 걸기:Random Digit DialingTr) 전화 조사로 이뤄졌으며 95% 신뢰수준에서 최대 표본오차 ±4.4% 포인트다.
한나라-민주당 지지율 12.3% 차이
한 36.5% 민 24.2% 지지정당 없음 35.1%
■정당 지지도
도민이 지지하는 정당은 한나라당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민주당이 24.2%로 뒤를 이었고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이 각각 1.4%, 자유선진당 0.8%, 국민참여당 0.6% 순이었다.
하지만 지지하는 정당이 없다는 응답이 35.1%에 달해 전체 유권자의 3분의 1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 4·27 도지사 보궐선거를 앞두고 도내 6개 언론사가 실시한 공동여론조사 때보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정당지지도는 모두 하락한 반면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은 크게 증가한 수치다. 지난 4월 조사 때 한나라당 지지도는 45.2%, 민주당은 30.1%, 지지 정당이 없다는 응답은 20.6%였다.
한나라당 지지도는 60대 이상(57.8%), 중학교 졸업 이하(45.1%), 고등학교 졸업(41.8%), 농림어업(41.7%), 100만원 이하 소득층(44%), 보수성향(56.4%), 도정 운영 부정평가층(48.7%)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다. 민주당은 원주권(30%), 30대(34.4%)와 40대(31.1%), 대졸이상(30.6%), 401만원 이상 소득층(38.2%), 중도(32%)와 진보성향(39.1%), 도정 운영 긍정평가층(34.8%)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